88여우자리(Vulpecula) - 하늘의 교활한 여우와 아름다운 행성상 성운

여우자리(Vulpecula) - 별자리 탐구

여우자리 (Vulpecula)

하늘에 숨어있는 교활한 여우와 아름다운 행성상 성운

이름: Vulpecula (Little Fox)
약자: Vul
계절: 여름~가을
위치: 백조자리와 독수리자리 사이

여우자리 소개

여우자리(Vulpecula)는 북반구 하늘에 위치한 비교적 어두운 별자리로, 17세기 후반에 폴란드의 천문학자 요한네스 헤벨리우스에 의해 정의되었습니다. 라틴어로 '작은 여우'를 의미하는 이 별자리는 본래 '여우와 거위(Vulpecula et Anser)'로 알려졌으나, 후에 여우자리로 단순화되었습니다.

이 별자리는 은하수 안에 위치해 있어 많은 심천체를 포함하고 있지만, 밝은 별이 없어 찾기 어려운 편입니다. 가장 잘 알려진 특징은 이 별자리에 있는 덤벨 성운(M27)으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인기 있는 관측 대상입니다.

주요 특징:哑铃 성운 (M27)

여우자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천체는 덤벨 성운(Dumbbell Nebula, M27)입니다. 이는 행성상 성운으로, 죽어가는 별이 외층을 우주 공간으로 방출하면서 형성된 것입니다.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했으며, 메시에 목록에 등재된 첫 번째 행성상 성운입니다.

M27덤벨 성운의 특징

• 지구에서 약 1,360광년 거리에 위치

• 겉보기 등급은 7.5등급으로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

• 이름은 모양이 아령(Dumbbell)과 비슷한 데서 유래

• 중심에는 백색 왜성이 있으며, 이는 죽은 별의 핵입니다

• 성운의 크기는 약 2.5광년으로 계속 팽창하고 있습니다

M27은 행성상 성운 중 가장 크고 밝은 것 중 하나로, 맑은 여름밤에는 쌍안경으로도 희미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작은 망원경으로는 회색의 타원형 모양을, 더 큰 망원경으로는 아령 모양과 내부 구조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신화와 역사

여우자리는 고대 신화에서 유래한 별자리가 아니라, 17세기에 만들어진 비교적 새로운 별자리입니다. 요한네스 헤벨리우스는 1690년에 출판한 그의 별자리 지도에서 이 별자리를 '여우와 거위(Vulpecula et Anser)'로 명명했습니다.

헤벨리우스는 이 별자리를 통해 여우의 교활함과 거위의 순수함을 대비시키려 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여우는 거위를 잡아먹기 위해 다양한 술수를 부리지만, 결국 실패한다고 합니다. 이는 별자리에서 여우가 거위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지만, 현대 천문학에서는 거위에 대한 언급이 사라지고 여우자리만 남게 되었습니다.

고대 별자리에 비해 역사가 짧지만, 여우자리는 현대 천문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이 별자리 영역에서 최초의 펄사(펄스 전파원)가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1967년 케임브리지 대학의 조셀린 벨 버넬과 앤토니 휴이시는 여우자리 영역에서 규칙적인 전파 신호를 발견했고, 이는 펄사의 첫 발견이었습니다.

관측 정보

여우자리는 북반구 여름밤하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백조자리와 독수리자리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은하수 안에 자리잡고 있어서 주변에 많은 별과 심천체들이 있습니다.

최적 관측 시기

• 계절: 여름 ~ 초가을 (6월~9월)

• 시간: 밤 10시경에 머리 위에 위치

• 위도: 북위 90°에서 남위 55° 사이에서 관측 가능

관측 방법

• 별자리 찾기: 백조자리와 독수리자리 사이에서 찾음

• M27 관측: 쌍안경으로 희미하게 보임

• 소형 망원경으로 아령 모양 식별 가능

• 광해가 적은 맑은 날이 최적

여우자리에는 M27 외에도 몇 가지 흥미로운 천체들이 있습니다. Collinder 399(일명 코트 행거 성단)는 실제로는 산개성단이 아니라 우연히 같은 방향에 위치한 별들의 집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NGC 7052는 타원은하로, 중심에 매우 큰 블랙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천문학적 의미

여우자리는 비교적 어두운 별자리이지만, 현대 천문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이 별자리에서 최초의 펄사(PSR B1919+21)가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펄사는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로, 규칙적인 전파 펄스를 방출합니다. 이 발견은 1974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M27덤벨 성운은 행성상 성운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대상입니다. 이 성운은 태양과 같은 별이 생명의 마지막 단계에서 어떻게 진화하는지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약 10,000년 전에 형성된 M27은 앞으로 수천 년 동안 점점 희미해지고, 결국 중심의 백색 왜성만 남게 될 것입니다.

천문학자들은 여우자리에서 외계행성도 발견했습니다. 2007년, OGLE-2005-BLG-390Lb 행성이 미세중력렌즈 관측을 통해 발견되었습니다. 이 행성은 지구에서 약 21,5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지구의 약 5.5배 질량을 가진 슈퍼지구로 추정됩니다.

© 2023 천문학 블로그 | 여우자리(Vulpecula)에 대한 모든 정보

본 콘텐츠는 천문학 교육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