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별자리 이야기인 게시물 표시

78 황소자리(Taurus) — 별자리 소개, 위치, 특징, 신화와 관측 팁

이미지
황소자리(Taurus) — 별자리 소개, 위치, 특징, 신화와 관측 팁 황소자리 (Taurus) — 붉은 눈 알데바란과 아름다운 성단들의 고향 태양이 지나가는 12궁 중 하나인 황소자리는 밤하늘에서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고전적 별자리입니다. 이 글에서는 황소자리의 위치와 주요 별, 소속 성단(히아데스, 플레이아데스), 관련 신화, 관측 팁과 블로그에 쓸 수 있는 사진 예시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별자리 황소자리 플레이아데스(M45) 알데바란 히아데스 1. 기본 개요 — 이름과 상징 황소자리(Taurus)는 라틴어 이름 Taurus, 우리말로는 '황소'를 뜻하는 별자리입니다. 전통적인 점성술의 12궁 중 하나로 분류되며, 밤하늘에서 뚜렷한 V자형의 별무리가 특징입니다. 이 V자형의 중심에는 밝은 적색의 별인 알데바란(Aldebaran) 이 위치하여 ‘황소의 눈’으로 불립니다. 2. 위치와 찾는 법 황소자리는 겨울철 북반구에서 잘 보이며, 오리온자리(Orion) 근처에서 찾기 쉽습니다. 오리온의 세별(허리)을 따라 왼쪽 위로 눈을 돌리면 밝은 붉은빛 별(알데바란)과 V자 형태(히아데스)를 발견할 수 있고, 그 근처에 작은 보석처럼 모여 있는 플레이아데스(M45)도 함께 보입니다. 초보 관측자도 쌍안경이나 맨눈으로 성단의 윤곽을 즐기기 좋습니다. 3. 주요 특징과 천체 알데바란 (Aldebaran) : 황소의 눈에 해당하는 밝은 K형 거성으로, 눈에 띄는 오렌지빛을 띕니다. 맨눈으로도 쉽게 확인됩니다. 히아데스(Hyades) : 알데바란을 포함한 V자형의 열린 성단으로, 전통적으로 황소의 얼굴을 이루는 별무리입니다. 히아데스는 비교적 가까운 성단이라 별들의 배열이 또렷합니다. 플레이아...

79 Telescopium (망원경자리) — 밤하늘의 관측 도구

이미지
Telescopium (망원경자리) — 밤하늘의 관측 도구 Telescopium (망원경자리) 작고 눈에 잘 띄지 않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이지만, 이름만큼은 과학과 관측을 기념하는 자리입니다. 망원경자리는 18세기 계몽시대의 천문학자들이 남반구 하늘을 정리하면서 만든 ‘도구자리’ 계열 가운데 하나입니다. 별자리명칭: Telescopium (Tel) · 한글명: 망원경자리 · 관측권: 남반구 중심 · 최적시기: 8월경(북반구에서는 남쪽 낮은 하늘에서 관측) 1. 이름과 기원 Telescopium은 라틴어형으로 ‘망원경’을 뜻합니다. 이 별자리는 1750~1754년 남아프리카 케이프에서 관측 활동을 벌인 프랑스의 천문학자 앙브레(Abbé) 니콜라-루이 드 라카유(Nicolas-Louis de Lacaille)가 제안한 별자리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라카유는 남천에서 수천 개의 별을 관측하며 유럽 쪽에서 보이지 않았던 영역을 채우기 위해 도구와 계측기를 상징하는 여러 별자리를 만들었고, 망원경자리는 그 중 하나로 남반구 하늘에 자리합니다. 출처: 역사·정의 관련.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2. 위치와 관측 팁 망원경자리는 하늘에서 비교적 작은 영역(약 252 제곱도, 88개 공식 별자리 중 57위) 을 차지하며, 사방에 Corona Australis(남쪽 왕관자리), Ara(제단자리), Pavo(공작자리), Sagittarius(궁수자리) 등 남중부 별자리가 둘러싸고 있습니다. 북위 약 +40°에서 남극까지 관측 범위가 잡히며, 북반구에서는 위도에 따라 지평선 가까이 낮게 보이므로 남반구 또는 낮은 북위 지역에서 더 잘 관측됩니다. 출처: 위치·가시성·면적 정보. :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80 Triangulum (삼각형자리) — 별자리 소개 & 관측 가이드

이미지
Triangulum (삼각형자리) — 별자리 소개 & 관측 가이드 Triangulum (삼각형자리) — 작지만 의미 있는 하늘의 '삼각형' 작성일: 2025-09-13 · 분류: 천문 · 태그: 별자리, Messier 33, 삼각형자리 한눈에 보는 Triangulum Triangulum(삼각형자리)은 북쪽 하늘의 비교적 작고 단정한 별자리로, 이름 그대로 세 개의 밝은 별이 만들어내는 길고 가느다란 삼각형 모양이 인상적입니다. 고대 바빌로니아와 그리스의 천문학자들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프톨레마이오스의 목록에도 들어 있는 전통적인 48개 별자리 중 하나입니다. 출처: 별자리 요약 정보. 위치와 관측 팁 삼각형자리는 적경 약 01h~02h, 적위 +25°~+37° 부근에 걸쳐 있어 북반구에서 관측이 용이합니다. 적도 부근에서도 잘 보이며, 12월 밤하늘(오후 9시경)이면 가장 관측하기 좋습니다. 면적은 비교적 작아 어두운 하늘에서 세 별을 찾아 삼각형을 그려보면 위치를 금방 파악할 수 있습니다. 관측 시간·좌표 등 기본 정보 출처. 주요 특징과 별들 Triangulum은 밝은 별의 수가 많지 않아 맨눈으로 보면 눈에 띄는 형상은 작지만, 삼각형의 꼭짓점을 이루는 별들(예: β Tri)은 별자리를 식별하는 데 충분합니다. 복잡한 성단이나 거대한 성운은 적지만, 이 자리에 속하는 작은 은하나 나선은하들이 관측 흥미를 더합니다. 별 구성과 특징 요약. 소속 천체 — Messier 33 (Triangulum Galaxy) 삼각형...

81 Triangulum Australe (남삼각자리) — 이름, 위치, 특징, 관측 가이드

이미지
Triangulum Australe (남삼각자리) — 이름, 위치, 특징, 관측 가이드 Triangulum Australe — 남쪽 하늘의 작은 삼각형 라틴명: Triangulum Australe (South Triangle) · 최적 관측시기: 7월 · 영역 크기: 약 110 제곱도 출처 Go-astronomy 1. 이름과 유래 Triangulum Australe는 라틴어로 '남쪽의 삼각형'이라는 뜻입니다. 작고 간결한 모양 때문에 이름대로 세 개의 밝은 별이 이루는 삼각형이 특징이며, 북반구의 'Triangulum(삼각형자리)'과 구분하기 위해 'Australe(남쪽)'이 붙었습니다. 이 별자리는 16~17세기 유럽 천문학자들에 의해 남반구 지도에 도입되었고, 이후 여러 천문 도감에 정식으로 수록되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11]{index=11} 2. 위치와 관측 정보 삼각형자리는 하늘의 남쪽 깊은 곳(대략 적경 14h56m ~ 17h13m, 적위 −60°에서 −70° 사이)에 놓이며, 전체 면적은 약 110 제곱도(별자리 순위 83위)를 차지합니다. 관측 가능 위도 범위는 북위 약 +25°에서 남극까지로, 남반구나 적도 부근에서 더 잘 보입니다. 매년 7월경 밤 9시경 가장 높게 떠오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12]{index=12} 따라서 한국 등 중위도 북반구 지역에서는 저지대로 보일 수 있고, 남반구에서는 머리 위 쪽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맑고 어두운 하늘이 관측에 유리하며, 도시 불빛이 강한 곳에서는 세 별이 이루는 모양만 겨우 식별될 수 있습니다. :contentReference...

82-1 Tucana (똑딱이자리) — 남쪽 하늘의 화려한 이야기

이미지
Tucana (똑딱이자리) — 남쪽 하늘의 화려한 이야기 Tucana (똑딱이자리) — 남반구 하늘에 앉은 ‘투칸’ 이야기 별자리 번호: 82 · 영문명: Tucana (Toucan) · 대표 특징: 작은 마젤란 구름(SMC)과 밝은 구상성단 47 Tucanae를 품은 남쪽 하늘의 별자리 한눈에 보는 똑딱이자리 Tucana(투카나, 한국어로는 보통 ‘똑딱이자리’ 또는 ‘투칸자리’로 불립니다)는 남반구에서 볼 수 있는 작은 별자리입니다. 형태는 새 ‘투칸(toucan)’을 연상시키는 모양으로 고정되어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이 자리에는 관측과 사진촬영에서 매우 매력적인 천체들이 모여 있습니다. 똑딱이자리(투칸자리) 별자리 지도 — 남반구에서의 윤곽. (출처: Wikimedia Commons) 위치와 관측 포인트 Tucana는 적도 아래의 남쪽하늘에 자리해 북반구 관측자에게는 잘 보이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관측 시기는 남반구의 가을·겨울 쪽(현지 시간 기준)이며, 도시의 밝은 하늘에서는 희미하게 보이지만, 맑고 어두운 하늘에서라면 주요 표적들을 손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 별자리는 작은 크기지만 깊은 하늘 관측 대상으로서 가치가 큽니다. 특징 1 — 작은 마젤란 구름(Small Magellanic Cloud, SMC) Tucana에서 특히 유명한 것은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 중 하나인 작은 마젤란 구름(SMC) 의 일부를 포함한다는 점입니다. SMC는 수많은 성단과 성운을 품고 있어 아마추어 천문가와 천체사진가에게 인기 있는 대상입니다. SMC의 풍부한 별 탄생 영역과 청색 성단들은 ...

82 Tucana (작은부리새자리, Toucan)

이미지
별자리 이야기 — Tucana (작은부리새자리, Toucan) Tucana — 작은부리새자리 (Toucan) 하늘의 남쪽을 장식한 열대의 새, '투칸'을 닮은 별자리 | 글·정리: 별자리 포스팅 작은부리새자리(Tucana)는 남반구 하늘에 위치한 별자리로, 16세기 후반 네덜란드 항해자들의 남반구 관측 기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비교적 '신규' 별자리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별자리 지도: Tucana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원본 보기 위치와 개요 Tucana는 적경(RA) 약 0h ~ 1h대의 영역에 걸쳐 있으며, 적위(Dec)는 약 −56°에서 −75° 사이로 남쪽 하늘 깊숙이 자리합니다. 주요 별과 구조 Tucana는 '밝은 별이 많은 별자리'는 아니지만, α Tucanae가 가장 밝은 별로 약 2.9등급을 보이며 별자리의 중심 역할을 합니다. 눈에 띄는 심층 천체 — 47 Tucanae (47 Tuc, NGC 104) 이 별자리에서 가장 유명한 천체는 단연 47 Tucanae 입니다. 47 Tucanae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47_Tucanae 작은 마젤란 구름 (Small Magellanic Cloud, SMC) 또 하나 놓칠 수 없는 것은 바로 작은 마젤란 구름(Small Magellanic Cloud; SMC) 입니다. 우리 은하의 위성은하 중 하나로, Tucana 근처 하늘에서 희미한 성운 모양으로 보입니다. 작은 마젤란 구름 (이미지 출처: https...

83 큰곰자리 (Ursa Major) — 하늘의 거대한 이야기

이미지
큰곰자리 (Ursa Major) — 하늘의 거대한 이야기 큰곰자리 (Ursa Major) 라틴명: Ursa Major · 영어명: Great Bear · 주요 특징: 큰곰자리자리 안의 큰국자(북두칠성) 큰곰자리 전경 — 이미지 출처: (출처: Torsten Bronger / CC-BY-SA 3.0) 한눈에 보는 큰곰자리 큰곰자리(라틴명 Ursa Major )는 북반구 하늘에서 가장 친숙하고, 발견하기 쉬운 별자리 중 하나입니다. 특히 큰국자(일명 북두칠성, Big Dipper )로 널리 알려져 있어 별자리를 잘 모르는 사람도 밤하늘에서 쉽게 눈에 들어옵니다. 계절을 크게 타지 않고 북쪽 하늘에서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별자리로, 항해자와 천문 관측자들이 오래전부터 이용해 왔습니다. 위치와 관측 팁 큰곰자리는 북쪽 하늘에서 볼 수 있으며, 북반구 대부분 지역에서 사계절 관측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위도에서 북쪽 방향을 향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로 보이므로 도시의 빛 공해가 심한 곳에서도 큰국자 모양은 비교적 쉽게 확인됩니다. 북두칠성의 두 별(덕베와 메락)을 이용하면 북극성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이 두 별을 잇는 선을 5배 정도 연장하면 북극성(Polaris)을 찾을 수 있습니다. 관측 난이도: 쉬움 — 시야가 탁 트인 밤이면 맨눈으로 식별 가능 최적 관측 시간: 북반구 계절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지만 연중 관측 가능 필요 장비: 맨눈으로 충분하지만 망원경/쌍안경으로는 더 많은 세부 대상(쌍성, 은하)을 관찰할 수 있음 특징 — 북두칠성과 주요 별들 큰곰자리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단연 큰국자(북두칠성)입니다. 북두칠성은 일곱 개의 밝은 별로 이루어진 주목할 만한 별자리 형태이며, 실제로는 큰곰자리의 앞부분(허리와 다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84 작은곰자리 (Ursa Minor) - 북극성을 품은 별자리

이미지
작은곰자리 (Ursa Minor) - 북극성을 품은 별자리 작은곰자리 (Ursa Minor) - 북극성을 품은 별자리 밤하늘을 올려다볼 때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찾는 별은 단연코 북극성(Polaris) 일 것입니다. 북극성은 하늘의 북쪽을 가리키며, 고대부터 뱃사람과 여행자들에게 방향을 알려주는 길잡이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이 북극성을 품고 있는 별자리가 바로 작은곰자리(Ursa Minor) 입니다. 기본 정보 이름(라틴어): Ursa Minor 우리말 이름: 작은곰자리 별자리 약자: UMi 위치: 북반구 하늘, 북극성 부근 대표 별: Polaris (북극성) 특징: 작은곰 모양, 일명 작은 국자(Little Dipper) 성단: 특별히 뚜렷한 산개성단이나 구상성단 없음 작은곰자리의 위치 작은곰자리는 북극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북반구 어디서든 쉽게 찾을 수 있는 별자리입니다. 하늘에서 큰곰자리(북두칠성)를 먼저 찾은 뒤, 북두칠성의 국자 끝 두 별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눈을 옮기면, 밝게 빛나는 북극성이 나타납니다. 이 북극성을 꼬리별로 삼은 별자리가 바로 작은곰자리입니다. 별들이 국자 모양을 이루고 있어, 영어권에서는 Little Dipper(작은 국자) 라고도 부릅니다. 작은곰자리의 특징 작은곰자리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보다도 북극성 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북극성은 사실 삼중성계로 이루어진 복잡한 항성이지만, 지구에서 볼 때는 하나의 밝은 별처럼 보입니다. 또한 작은곰자리의 나머지 별들은 큰곰자리의 북두칠성보다 훨씬 어둡기 때문에, 대도시처럼 빛 공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북극성 외에는 쉽게 관측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은곰자리에...

85 돛(Vela) 별자리: 항해자의 길잡이, 거대한 범선의 흔적

이미지
돛(Vela) 별자리: 고대 항해자의 길잡이 돛(Vela) 별자리 은하수의 항해자, 거대한 범선의 흔적 남반구 하늘에서 찾을 수 있는 돛자리는 고대 그리스의 거대한 선박 아르고 나비스의 일부였던 별자리로,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성운과 성단을 품고 있는 천문학의 보물창고입니다. 은하수를 항해하는 거대한 돛 돛자리 기본 정보 위치: 남반구 하늘, 적경 9h 34m, 적위 -47° 관측 최적기: 2월~4월 (한국에서는 부분적으로 관측 가능) 면적: 500 평방도 (하늘에서 32번째로 큰 별자리) 주요 별: 돛자리 감마, 델타, 카파, 람다 별 천체 관측 정보 겉보기 등급: 1.0~4.0 등급 가장 밝은 별: 돛자리 감마 (Regor) - 1.75등성 멋진 천체: 돛자리 초신성 잔해, NGC 2736 성운 은하초과군: 돛자리 초은하단 포함 돛자리의 신화와 역사 돛자리는 원래 고대 그리스의 거대한 선박 아르고 나비스(Argo Navis)의 일부였습니다. 아르고 나비스는 이아손과 아르고나우트들이 황금양털을 찾기 위해 타고 갔던 전설적인 배였습니다. 18세기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아르고 나브스를 현대적인 별자리인 용골자리(Carina), 고물자리(Puppis), 돛자리(Vela)로 나누었습니다. 돛자리는 이 거대한 배의 돛을 상징합니다. 고대 항해자들에게 돛자리는 실제 항해의 길잡이 역할을 했습니다....

86 처녀자리(Virgo) - 하늘의 정의와 풍요의 여신

이미지
처녀자리(Virgo) - 하늘의 정의와 풍요의 여신 처녀자리(Virgo) - 하늘의 정의와 풍요의 여신 밤하늘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처녀자리의 신비와 과학 하늘의 거대한 별자리, 처녀자리 처녀자리(Virgo)는 황도 12궁 중 하나이면서도 하늘에서 두 번째로 큰 별자리로, 봄밤하늘에서 그 위용을 드러냅니다. 이 별자리는 북반구에서 봄, 남반구에서는 가을에 가장 잘 보이며, 특히 5월 밤 9시경에 최고의 관측 조건을 제공합니다. 처녀자리는 그 규모가 매우 커서 1294.4 평방도에 이르는 영역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체 하늘의 3.138%에 해당하는 넓이로, 우리 은하의 중심 방향을 따라 위치하고 있어 다양한 천체들을 관측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있습니다. 기본 정보 이름: 처녀자리 (Virgo) 약자: Vir 위치: 적경 13h, 적위 0° 넓이: 1294.4 평방도 (전체 하늘의 3.138%) 주요 별: 스피카 (α Vir) 관측 정보 적위: -22° ~ +14° 남중: 5월 10일 오후 9시 가시 위도: +80°에서 -80° 사이 가장 밝은 별: 스피카 (α Vir, +0.98 등성) ...

87날치자리(Volans) - 하늘을 나는 물고기의 신비

이미지
날치자리(Volans) - 하늘을 나는 물고기의 신비 날치자리(Volans) - 하늘을 나는 물고기의 신비 남반구 하늘에 자리한 독특한 별자리의 이야기 하늘을 나는 물고기, 날치자리 날치자리(Volans)는 남반구 하늘에 위치한 작지만 매력적인 별자리로, '날치' 또는 '비행 물고기'를 의미합니다. 이 별자리는 16세기 후반 네덜란드의 탐험가이자 천문학자인 페트러스 플란시우스와 요한 바이어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날치자리는 주로 남반구에서 관측 가능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는 관측이 어렵습니다. 날치자리의 특징 위치와 규모 날치자리는 카멜레온자리, 용골자리, 그림자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천구상에서 적경 6h 36m ~ 9h 02m, 적위 -64° ~ -75° 사이에 자리잡고 있으며, 면적은 141 평방도로 76번째로 큰 별자리입니다. 별들의 특징 날치자리는 특히 밝은 별이 많지 않은 별자리로, 가장 밝은 별인 베타 볼란티스도 겉보기 등급이 3.77에 불과합니다. 이 별자리는 1등성이나 2등성이 없어 어두운 밤하늘에서도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주요 별과 천체 ...

88여우자리(Vulpecula) - 하늘의 교활한 여우와 아름다운 행성상 성운

여우자리(Vulpecula) - 별자리 탐구 여우자리 (Vulpecula) 하늘에 숨어있는 교활한 여우와 아름다운 행성상 성운 이름: Vulpecula (Little Fox) 약자: Vul 계절: 여름~가을 위치: 백조자리와 독수리자리 사이 여우자리 소개 여우자리(Vulpecula)는 북반구 하늘에 위치한 비교적 어두운 별자리로, 17세기 후반 에 폴란드의 천문학자 요한네스 헤벨리우스에 의해 정의되었습니다. 라틴어로 '작은 여우'를 의미하는 이 별자리는 본래 '여우와 거위(Vulpecula et Anser)'로 알려졌으나, 후에 여우자리로 단순화되었습니다. 이 별자리는 은하수 안에 위치해 있어 많은 심천체 를 포함하고 있지만, 밝은 별이 없어 찾기 어려운 편입니다. 가장 잘 알려진 특징은 이 별자리에 있는 덤벨 성운(M27) 으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인기 있는 관측 대상입니다. 주요 특징:哑铃 성운 (M27) 여우자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천체는 덤벨 성운(Dumbbell Nebula, M27) 입니다. 이는 행성상 성운 으로, 죽어가는 별이 외층을 우주 공간으로 방출하면서 형성된 것입니다.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했으며, 메시에 목록에 등재된 첫 번째 행성상 성운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