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 작은곰자리 (Ursa Minor) - 북극성을 품은 별자리

작은곰자리 (Ursa Minor) - 북극성을 품은 별자리

작은곰자리 (Ursa Minor) - 북극성을 품은 별자리

밤하늘을 올려다볼 때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찾는 별은 단연코 북극성(Polaris)일 것입니다. 북극성은 하늘의 북쪽을 가리키며, 고대부터 뱃사람과 여행자들에게 방향을 알려주는 길잡이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이 북극성을 품고 있는 별자리가 바로 작은곰자리(Ursa Minor)입니다.

기본 정보

  • 이름(라틴어): Ursa Minor
  • 우리말 이름: 작은곰자리
  • 별자리 약자: UMi
  • 위치: 북반구 하늘, 북극성 부근
  • 대표 별: Polaris (북극성)
  • 특징: 작은곰 모양, 일명 작은 국자(Little Dipper)
  • 성단: 특별히 뚜렷한 산개성단이나 구상성단 없음

작은곰자리의 위치

작은곰자리는 북극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북반구 어디서든 쉽게 찾을 수 있는 별자리입니다. 하늘에서 큰곰자리(북두칠성)를 먼저 찾은 뒤, 북두칠성의 국자 끝 두 별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눈을 옮기면, 밝게 빛나는 북극성이 나타납니다. 이 북극성을 꼬리별로 삼은 별자리가 바로 작은곰자리입니다. 별들이 국자 모양을 이루고 있어, 영어권에서는 Little Dipper(작은 국자)라고도 부릅니다.

작은곰자리의 특징

작은곰자리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보다도 북극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북극성은 사실 삼중성계로 이루어진 복잡한 항성이지만, 지구에서 볼 때는 하나의 밝은 별처럼 보입니다. 또한 작은곰자리의 나머지 별들은 큰곰자리의 북두칠성보다 훨씬 어둡기 때문에, 대도시처럼 빛 공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북극성 외에는 쉽게 관측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은곰자리에는 눈에 띄는 산개성단이나 구상성단 같은 대규모 성단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극성을 품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천문학적으로, 역사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 별자리라 할 수 있습니다.

신화 속 작은곰자리

작은곰자리는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의 젖모(유모)인 시노수라(Cynosura)와 관련이 있습니다. 제우스의 어머니 레아는 남편 크로노스가 자식을 잡아먹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아기 제우스를 몰래 크레타 섬의 동굴에 숨겼습니다. 그곳에서 제우스를 돌봐준 인물이 바로 시노수라라는 요정이었습니다. 제우스는 훗날 자신을 돌봐준 시노수라를 기리기 위해 하늘에 올려 작은곰자리로 만들었다고 전해집니다.

작은곰자리와 항해

고대부터 북극성은 방향을 알려주는 별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특히 바다 위에서 나침반이 없던 시절, 북극성은 북쪽을 알려주는 유일한 기준이었습니다. 작은곰자리는 북극성이 속한 별자리로서, 인류의 항해 역사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북극성은 천문학적 좌표계에서 하늘의 북극을 기준 짓는 핵심 별입니다.

작은곰자리 사진

아래는 작은곰자리와 북극성의 모습을 담은 천체 사진입니다. 어두운 밤하늘일수록 더욱 선명하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 작은곰자리 별자리 지도 (출처: 나무위키)

마무리

작은곰자리는 화려한 성단이나 수많은 밝은 별들로 가득 차 있지는 않지만, 북극성을 품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어떤 별자리보다도 특별한 가치를 지닙니다. 작은 국자 모양의 별 배열 속에 숨어 있는 우주의 길잡이, 북극성을 찾아보며 고대인들의 항해와 신화를 떠올려 보는 것도 의미 있는 경험이 될 것입니다.

```